구버전
-
[CS Study] 화살표 함수와 일반 함수구버전/JavaScript 2024. 1. 8. 00:10
개요 함수의 정의방식 일반 함수와의 차이점 함수의 정의 방식 함수의 정의 방식은 일반적으로 function keyword를 활용한 정의와 화살표 함수를 활용한 정의 2가지로 나뉘어진다 Function keyword를 활용한 정의 함수 선언식 함수를 선언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 호이스팅(선언을 최상단으로 끌어올리는 행위)이 가능하다 익명함수를 만들 수 없다 (함수의 이름이 필수) main() // 호이스팅으로 가능함 function main() { console.log('hello') } main() 함수 표현식 호이스팅이 되지 않는다 익명함수를 만들 수 있다 const main = function main() { console.log('hello') } // 네임드 함수 const main = funct..
-
[Vite] 절대경로 설정구버전/React 2024. 1. 3. 14:14
Vite + Typescript 를 사용한 프로젝트에서 절대경로를 설정하는 방법 tsconfg.json 과 vite.config.json 모두 고쳐줘야한다. >tsconfig.json { "compilerOptions": { "baseUrl": "src", ... "path": { "pages/*": ["pages/*"], "components/*": ["components/*"], } } 아래의 설정을 하지 않아서 경로를 제대로 찾지 못하는 에러가 발생했었음. import { defineConfig } from "vite"; import react from "@vitejs/plugin-react-swc"; // https://vitejs.dev/config/ export default defineCon..
-
[CS Study] 스코프, 스코프체인구버전/JavaScript 2024. 1. 2. 09:18
개요 스코프 스코프 체인 스코프 식별자의 유효범위로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하며 참조 대상 식별자를 찾아내기 위한 규칙이다. var x = "global"; function foo() { var x = "function scope"; console.log(x); } foo(); // function scope console.log(x); // global 위와 같은 코드에서 전역변수인 x는 어디서든 참조할 수 있지만 foo() 내부에 선언된 지역변수 x는 foo() 내부에서만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규칙을 스코프라고 한다. 스코프가 필요한 이유) 의도치 않은 변수 값의 변조를 방지 (변수명의 충돌)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 (코드 블럭 안의 참조값들은 코드가 실행될 때만 메모리에 할당 됨) 전역변..
-
[React] useState의 동작원리구버전/React 2023. 12. 16. 11:36
개요 기본개념 useState 동작 원리 헷갈리는 useState 결론 React에서 많이 사용되는 useState 왜 const로 선언이 되고 어떻게 변화를 시키는지 알아보자!! 기본 개념 Functional Component에서 상태) 불변성의 특징을 통해 사용하는 값을 예측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함수의 반환 값으로 컴포넌트가 나타나고 컴포넌트가 가진 값, 클로저 등의 정보는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Class Component는 this가 바인딩 된 것, 내부 상태값의 변화 등의 문제로 메서드 실행시점의 값을 예측하는 것이 쉽지 않다. 리랜더링이 필요한 시점에서 새롭게 호출을 하여 새로 만들어버린다. 초기 시점에 불변성을 활용하는 부분에 어려움이 있어 Class Component가 많이 사용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