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버전
-
[Seoulvival] 전체 회고록구버전/항해 99 2023. 9. 12. 15:48
항해99 실전프로젝트를 하면서 느꼈던 점을 종합적으로 정리를 해보았다 원래 하루하루기록했더라면 좋았겠지만.. 너무 바쁘고 지쳐있다보니 다 끝나고 하게 된 점이 너무나 아쉽다 프로젝트 기획 프로젝트 기획단계에서 조금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그에 따라 정리를 해보았는데 3가지 정도 아쉬움이 있고 이에따라서 추후에 어떻게 해야할지 기술해보았다. 1. 프로젝트 기획 기획단계에 있어서 조금에 문제가 있어 중간 MVP check 시간 3일전에 기획이 수정되는 일이 있었다. 이에 따라서 조금씩 일정이 밀리게 되어 결국 시간에 쫒기듯이 프로젝트를 마감했다는 느낌이 있다. 사전 기획단계에서의 의견 조율이나 또는 확고하게 선정되지 못한 이유 중 가장 큰 것을 꼽자면 너무 욕심이 많았다고 생각이 된다.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단..
-
[Seoulvival] DetailPage - 좋아요구버전/항해 99 2023. 9. 11. 17:25
[고민한 내용] 정적인 데이터와 동적인 데이터를 어떻게 받아오고 구성을 해야할까? 인풋을 이용해서 다양한 작업(댓글에 관련된 CU 작업) 어떻게 하면 재사용을 많이하면서 구성을 할 수 있을까? 정적인 데이터와 동적인 데이터의 구분 next.js를 통해서 구현을 하기때문에 컴포넌트 별 SSR과 CSR을 얼마나 잘 사용하는지에 따라서 랜더링 시간이나 유저의 UX가 많이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이 되었다. 대부분의 유저의 인터렉션에 동적으로 반응해야 할 부분을 구분을 하고 그 중에서 좋아요, 스크랩, 그리고 댓글 부분에 대해서 동적으로 구현을 해야겠다고 생각을 하였다. 1. 처음 fetch를 통해서 가져온 값에 대해서 revalidation을 적용해서 실행을 해보았는데 cache된 데이터가 제대로 최신화가 되지 ..
-
[CS study] 개발자도구구버전/CS Study 2023. 9. 6. 14:09
개발자 도구의 활용을 잘해야 더욱 좋은 개발자가 될 수 있겠다고 느끼게 된 계기로써는 클론코딩을 하면서 처음으로 느꼈던 것 같다 처음에는 그냥 단순히 Style에 관련 된 내용과 HTML이 어떻게 구성이 되어있는만 간단하게 확인을 하다가 점차 Network의 상태를 통해서 Preview로 SSR로 넘어오는데이터를 체크하고 Lighthouse로 성능을 측정하고 localstorage와 cookie에 값을 저장하는 것을 확인하면서 다양하게 여러방면으로 활용이 되고 활용을 해야 개발을 잘 할 수 있다고 느꼈기 때문에 조금이나마 몰랐던 사용방법이 있다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기본적인 Console, Element에 관한 얘기보다는 이런 기능도 있었네 라는 요소를 적을 생각임 1. 스크린샷 기능 현재 windo..
-
[CS study] TS vs JS구버전/CS Study 2023. 8. 28. 06:20
js 와 ts 의 가장 큰 차이점은 type의 정의를 하느냐 안하느냐이다 type이란 선언시에 자료형을 명시해서 어떤 특정 값(변수, 함수)이 어떤 자료형을 가지는지 정의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ts를 사용하면 js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compile error를 통해서 좀 더 쉽게 에러의 원인을 찾을 수 있다 runtime error 와 compile error에 대해서 간단하게 말하자면 compile error는 변수를 선언하는 과정에서 미리 선언한 자료형이 아닌 다른 것이 와서 compile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runtime 과정으로 가기 이전에 어떤 문제가 있는 지 알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게 ts를 통해서 error를 좀 더 쉽게 찾을 수 있는 이유가 된다. 하지만 간단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