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버전
-
[Careerthon] 큐와 스택의 차이, 선형자료구조의 특징구버전/CS Study 2023. 11. 10. 11:37
선형자료구조의 특징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관리하는 자료구조 선형자료구조는 인덱스와 데이터의 1대1구조로 데이터의 접근이 빠른 장점이 있고, 많은 수의 데이터를 처리해야할 때 자주 사용된다. 스택과 큐의 차이 스택은 선입후출의 형태를 띄는데 이는 블록을 쌓고 위에서부터 꺼내는 식으로 마지막의 넣은 값이 가장 먼저 나오는 경우이다 우리가 함수에서 call stack이라고 부르는 것도 스택의 구조로 되어있다. 큐는 선입선출의 형태를 띄기에 먼저 넣은 값이 가장 먼저 출력이 된다 프린트를 할 때 page가 1번부터 출력이 된다면 큐에 해당하는 경우가 되겠다
-
[Careerthon] 선형자료구조구버전/CS Study 2023. 11. 10. 11:30
개요 자료구조란? 비선형자료구조 자료구조란? 전산학에서 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 저장하는 방법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분류) 선형자료구조란 :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나열시킨 형태 비선형자료구조 : 하나의 데이터 뒤(안)에 여러개의 자료가 존재한다. 선형자료구조 많은 수의 데이터를 사용할 때 index와 데이터의 1 : 1 구조이기에 자주 활용 된다 index를 이용하여 데이터에 접근이 빠르다 추가 삭제시 번거롭다. Array 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 논리적 저장순서와 물리적 저장순서가 일치한다. index로 해당 element에 접근한다 삽입, 삭제 과정에서 해당요소를 삭제하는 작업 + 빈공간에 대해 index를 shift해줘야하는 작업까지 요구 됨 O(n)의 시간을..
-
[Careerthon]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구버전/CS Study 2023. 11. 9. 17:40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명령형과는 다른 선언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의 일종으로 함수단위로 프로그래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함수는 순수함수만을 이용해야한다. 이 순수함수라고 함은 같은 input값에 대해서 항상 같은 output을 생성하는 것으로 외부의 상태를 변형하지 않고 side-effect가 없는 함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함수 밖의 num라는 값이 선언 되어있고 이 값이 함수 내부에서 활용이 된다면 num의 값에 따라서 함수의 return값이 달라지기에 순수함수라고 할 수 없다. 장점으론 모듈화와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핵심개념에 대해서는 불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차함수란 함수의 반환 값으로 다른 함수를 사용하거나 함수의 반환값으로 또 다른 함수를 사용할 수 있는 함수이다.
-
[Careerthon] 프로그래밍 패러다임구버전/CS Study 2023. 11. 9. 17:31
개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란? 종류와 특성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프로그래밍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이나 틀,체계라고 볼 수 있다. 개발자가 어떻게 프로그래밍을 할 것인가란 의문에 대해서 특정 관점이나 방식을 바탕으로 프로그밍을 실시하게 되기에 상당히 개념 중심의 내용이다. 프로그래밍의 변화 절차적 프로그래밍(PP, Procedure Programming)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 Oriented Programing) 함수형 프로그래밍(FP, Functional Programing) 등장의 시기는 역순이지만 각광받는 시기는 절차에서 함수로 내려온다. 단순히 등장순서에 따라서 우월을 판단하는 것이 아닌 접근방식과 사용환경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활용이 된다. 종류와 특성 방법 및 목적에 따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