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버전/AWS

[SSL 발급] 대체 도메인 설정 및 서브 도메인 등록

고래강이 2023. 11. 20. 10:40

개요

  • 서브 도메인 설정
  • 대체 도메인 설정

서브 도메인 설정

과정)

  1. 도메인 구매
  2. 서브도메인 설정

서브도메인 왜 설정해야하는가?

경제적인 이유에서 도메인을 2개를 구매해서 사용하는 것은 굉장히 비효율적이다. 그러니 서브도메인을 통해서 서비스를 분리해서 구조화를 시켜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소스 분산 및 다른서비스와의 분리를 통해 보안도 강화할 수 있다. 다만 host가 다르다는 것은 출처가 다르다는 것이기에 CORS에러는 별도로 해결해야 함  

 

 

도메인 구매: 가비아 (가비아공식문서)

기본적으로 가비아의 설정부분을 많이 따라갔다. 차이점은 A type을 이용해서 IP를 값에 넣어주는 것이 아닌 CNAME에 CloudFront의 도메인 이름을 설정해서 값에 넣어준다. (AWS공식문서)

서비스 관리 > DNS 관리툴 > 도메인선택 > 레코드 선택

호스트에는 대체도메인에서 사용할 값을 입력하면 된다

ex) www.대체도메인.com이라고 했을 때 www 부분이 호스트가 된다


대체 도메인 설정

과정)

  1. ACM(Certifiacte Manager)에서 인증서 요청
  2. CloudFront에서 대체 도메인 설정
  3. Route53에 레코드 추가

ACM 생성

  • ACM에서 인증서를 발급받을 때 region은 버지니아 북부(us-east-1)에 설정
  • 도메인 이름에 대체 도메인이면 host부분도 넣어야함

 

CloudFront 설정

 

Route53 추가

  • gabia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호스팅영역에 추가를 해야한다.
  • 이후 단순 레코드 정의에서 설정한 값을 토대로 작성을 해주면 됨